본문 바로가기

사람사는세상85

두고두고 만날 화포천 용버들 1년 전 이맘, 두어 달간 봉하마을과 화포천을 돌며 나무 전지작업을 하다 발견한 용버들입니다. 나무 자리가 그나마 인적은 있지만 정작 코앞에는 발길이 쉽게 닿는 곳이 아니라 알고 보지 않으면 등잔밑처럼 결코 안보이는 곳이랍니다. 그곳을 지날 때면 먼발치에 서서 마치 내 나무인 양, 보물이라도 숨겨 놓은양 뿌듯하게 바라보곤 했습니다. 며칠전 모처럼만에 나무를 살피러 화포천에 갔더니 이름처럼 용이 승천하듯 하늘을 향해 가지를 뻗은 용버들이 거기에 그대로입니다. 잘 자라라고 바닥의 나무 줄거리를 옆나무에 묶어 지지대를 해준 것도 그대로입니다. 앞으로도 함께 나이 먹으며 두고두고 찾아 만날 생각입니다. 용버들과 함께 서비스 컷으로 화포천과 봉화산 사자바위 풍경 몇장 더합니다. 2016. 3. 9.
왔습니다, 왔어요! 봄이 오는 길 산 너머 조붓한 오솔길에 봄이 찾아 온다네들 너머 뽀얀 논밭에도 온다네 아지랑이 속삭이네 봄이 찾아 온다고어차피 찾아 오실 고운 손님이기에 곱게 단장하고 웃으며 반기려네하얀 새옷 입고 분홍신 갈아 신고 산 너머 조붓한 오솔길에 봄이 찾아 온다네들 너머 뽀얀 논밭에도 온다네 왔습니다, 왔어요! 봉하에 봄이 찾아왔습니다. 봄소식 그냥 전하기 머쓱했나봅니다. 설 연휴 끝나자마자 며칠 겨울비를 뿌리더니 주말 봉하 장군차밭 너머로 어느새 매화가 피고, 지난가을 심은 앉은뱅이밀도 푸른 기지개를 켭니다. 수줍음 많은 곰보배추도 반갑게 인사합니다. 언젠가 싶었지만 또 언제였나는듯 봉하 곳곳에 지천으로 꽃과 생명이 피어날 겁니다. 2016. 2. 15.
봉하쌀 5.8톤, 더 크고 더 따뜻해진 ‘나눔 연대’ 오늘은 친환경 봉하쌀이 전국의 우리 이웃들에게 찾아간 이야기를 들려드리려고 합니다. 퇴임 후 고향 봉하마을로 돌아간 노무현 대통령은 ‘친환경 생태농업’을 새로 시작하면서 ‘사람과 사람, 사람과 자연이 더불어 사는 삶’을 땀의 현장에서 몸소 실현하고자 했습니다. 이 뜻을 봉하의 일꾼들과 노무현재단 4만3천여 명의 후원회원들께서 ‘사랑의 쌀 나눔’으로 실천하시고 계시지요. 2009년 11월 처음 시작된 ‘사랑의 쌀 나눔’이 지난해부터 지방자치단체 등과 ‘나눔 연대’를 맺고 그 영역을 확장하면서, 더 많은 이웃들에게 봉하쌀을 통한 나눔의 온정을 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다가오는 설을 맞아 우리들 서로에게 아주 좋은 덕담이 될 만한 유쾌한 나눔 사연을 몇 개를 소개합니다. ‘잘 먹고, 힘내자!’ 꼬마 .. 2016. 2. 3.
빈 썰매와 나만 남았네 5년전 이맘 봉하들녘 낫살 잊어먹고 꽁꽁 얼어붙은 농수로 위를 깔깔껄껄 달렸던 젊은 중년들 둘은 이미 오래전 제 길 찾아 대처로 가고 겨울들녘엔 빈 썰매와 나만 남았네. 2016. 1. 30.